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책]님 웨일즈,김산/아리랑:그 모든 실패에서 건진 하나의 작은 승리
    문화생활/책 리뷰 2017. 5. 28. 18:35

    아리랑/님웨일즈

    김산은 대중에게 잘 알려진 인물은 아니다. 일제 식민지였던 조선에서 태어나 고작 서른 세해를 살다가 요절한 이 사람은 일본과 만주, 상하이, 베이징을 누비고 활약하며 혁명을 꿈꾸던 혁명가다. 신흥무관학교를 졸업하고 중국대혁명에도 참여하고, 몇 차례 체포되는 위기도 넘겼으며 중국공산당에서도 활약하며 독립운동을 해왔다.

    중국 옌안에서 그는 운명처럼 님 웨일즈라는 신문기자와 우연히 조우하게 되는데, <아리랑>은 바로 김산의 비밀 원고에 기초를 두고 님 웨일즈가 편찬한 김산의 짧은 일대기와 전기라고 할 수 있다. 님 웨일즈는 1941년 책을 출간했는데 그녀는 그때도 3년 전인 1938년에 김산이 중국공산당 간부에 의해 스파이로 매도되어 처형되었음을 알지 못했다.

    서평을 쓴다는 것은 참 어려운 일이지만 500페이지를 넘는 분량으로 한 사람의 일대기를 다른 책을 평한다는 건 특히 힘든 작업이 되리라는 게 느껴진다. 그래서 간단하게 몇 구절 옮기기만 하기로 한다.

    일본인이라고 모두 같지는 않다.

    조선의 독립을 염원하는 혁명가임에도 김산이 일본인에게 느끼는 감정은 의외로 호의적이다. 적이라고 생각한다는 느낌은 잘 나지 않는다. 물론 조선에 있는 일본인 경찰의 고문행위나 협박과 같은 부정적인 행위도 많이 묘사된다. 그러나 중국에 파견된 일본인 관리와 일본 현지의 일반인들은 김산에게 호감을 주는 인물들이라는 점이 흥미롭다.

    "일본 본토의 일본인이 조선에 있는 일본인과는 아주 다르다는 것을 알고 나는 적잖이 놀랐다...(중략)...나는 도쿄에서 사귄 많은 일본인들에게 호감을 가졌다...(중략)...일본인은 아주 좋은 동지가 될 수 있는 사람들이다."(p.114)

    "모든 일본인들은 용기 있는 삶을 찬미하며, 겉으로는 혁명가를 미워한다 할지라도 속으로는 존경한다."(p.365)

    "해외에 파견되는 일본인 관리는 말단 직원까지도 교육이 잘 되어 있다. 이들은 일본제국의 전위인 것이다. 조선 국내의 경찰은 이들과는 질이 다르다. 그놈들은 이만큼 정중하지가 못하다."(p.367)

    혁명과 연애 사이에서

    베이징에서 공산당의 비서로서 활동하고 있을 때 김산은 '류링'이라는 한 중국 아가씨를 만난다. 그녀는 김산에 대한 숭배의 눈을 지니고 있었고 김산은 자기방어책을 강구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김산은 혁명을 완수하기 위해 결혼을 하지 않기로 결심한 상태였기 때문이다.

    김산이 류링에게 말한다. 

    "제발 이러지 마세요. 나는 어떤 아가씨와도 연애를 해본 적이 없어요. 게다가 1923년 이래 이 문제로 내 혁명활동이 절대로 방해받지 않게 하겠다고 맹세해 왔소."

    철벽을 치는 김산에게 류링이 말하는 지론은 자못 설득력이 있다. 

    "혁명은 하나의 추상물이 아닙니다. 살아 움직이는 인간으로 만들어지는 것이지요. ...(중략)...인간적인 요소가 혁명에 유기적인 단결인 동지간의 충성과 더욱 커다란 책임을 부여해주는 것입니다."(p.320)

    결국 혁명도 다 인간이 하는 게 아니냐. 떨어져있으면 개체에 불과하지만 함께 있으면 완전한 하나의 단위가 될 수 있다는 그녀의 말은 얼마나 진지하고 매력적인가.

    그럼에도 김산은 편지를 써달라는 부탁도 거절하고 이렇게 나오고 만다.

    "문밖에 나오자 휴! 하고 한숨을 내쉬었다. 그리고 '여자들이란 도대체가 맘대로 안 되는군'하고 탄식하면서 큰 걸음으로 걸어갔다."

    내 생애는 실패의 역사

    책의 제목인 아리랑에 대한 언급은 책에 몇 번 나오긴 한다. 김산이 수갑을 찬채 기차를 타고 톈진까지 이송되어 가는데 와세다대를 졸업하고 조선인과 결혼한 사복형사 한 사람과 동행한다. 

    일본 형사는 이 조선인 김산에게 호감을 드러내며 시를 써달라고 하기도 하고 김산에게 '인터내셔널가'를 들려달라고 하지만, 김산은 오늘은 '인터내셔널가'를 부르고 싶은 생각이 없다며 거절한다. 그 노래가 승리의 노래이지 패배의 노래가 아니라서라고 덧붙인다.

    "오늘 같은 날에 내가 부를 수 있는 노래는 오직 하나밖에 없습니다.","그게 뭔가요?","조선에서 아주 오랜 옛날부터 내려오는 죽음과 패배의 노래입니다. '아리랑' 이지요."(pp.366-367)

    죽음과 패배의 노래를 부르는 김산의 심정은 어땠을까? 죽으러 가는 길이 될 수도 있다는 생각에 청승맞은 모습이었을까? 아니, 내 생각엔 그는 오히려 당당한 모습이었던 거 같다. 책 말미에 다음과 같은 고백이 있기 때문이다.

    "내 전 생애는 실패의 연속이었다. 우리나라의 역사도 실패의 역사였다. 나는 단 하나에 대해서만 -나 자신에 대하여- 승리했을 뿐이다. 그렇지만 계속 전진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는 데는 이 하나의 작은 승리만으로도 충분하다. 다행스럽게도 내가 경험했던 비극과 실패는 나를 파멸시킨 것이 아니라 강하게 만들어주었다."(p.464)

    비극은 인생의 한 부분이다

    김산은 태생적으로 혁명가였을까 아니면 역사에 의해 혁명가로 길러진 것일까. 책에서 비치는 그의 생각 한 조각 한 조각은 1920~30년대 비극적인 시대를 살아야 했던 한 조선인의 절규가 느껴지는 동시에 혁명가로서의 삶을 숙명처럼 받아들이는 담담함도 보인다. 

    "한 가지만은 늘 기억하고 있다. 혁명가들은 자기의 희생 속에서 행복하게 죽어가는 것이요, 그것이 무익하다는 것을 알지 못한다는 것이다."(p.472)

    최근 본 <동주>라는 영화가 생각났다. 식민지 청년의 굴레를 평생 이고 살았고, 시를 쓰며 매일 밤 하루를 또 쉽게 살아가는 자신을 부끄러워하고 또 부끄러워했던 청년 윤동주가 1917년에 태어났으니 김산보다는 띠동갑 동생이다. 윤동주는 그의 선배 독립운동가들과 마찬가지로 1945년 2월에 조선의 독립을 채 지켜보지 못하고 차가운 일본 감옥에서 죽어갔다. 강점기 조선에서 태어난 윤동주와 그 수많은 독립운동가들의 삶을 생각하면 안타까운 마음이 그지 없다.

    <아리랑>의 마지막 구절은 이렇게 죽어간 모든 자들을 위해 김산이 남긴 헌시와 같다. 좌절하지 않는 자는 비록 몸은 죽어도 역사로 살아남는다.

    "내 청년시절의 친구나 동지들은 거의 모두가 죽었다. 민족주의자, 기독교 신자, 무정부주의자, 테러리스트, 공산주의자 등등 수백 명에 이른다. 그러나 내게는 그들이 지금도 살아 있다. 그들의 무덤을 어디로 정해야 하는지 따위는 전혀 마음에 두지 않는다. 전장에서, 사형장에서, 도시와 마을의 거리거리에서, 그들의 뜨거운 혁명적 선혈은 조선, 만주, 시베리아, 일본, 중국의 대지 속으로 자랑스럽게 흘러 들어갔다. 그들은 눈 앞의 승리를 보는 데는 실패했지만 역사는 그들을 승리자로 만든다."(p.472)





    댓글